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4

단일금리방식/복수금리방식, 금융공황, 뱅크런, 구제금융,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74회) 1. 단일금리방식/복수금리방식 경쟁입찰에 따른 발행금리 결정방식에는 복수금리(conventional) 방식과단일금리방식(dutch) 방식이 있다. 복수금리(가격) 방식은 각 낙찰자가 입찰 시 제시한 금리(가격)를 발행금리(발행가격)로 하는 방식이며, 단일금리(단일가격) 방식은 각 낙찰자가 입찰 시 제시한 금리(가격) 중 최고금리(최저가격)를 발행금리(발행가격)로 하는 방식이다. 유동성 흡수 시에는 금융기관의 자금운용을 제약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금융기관에 유리하게 단일금리방식을 적용하는 반면 유동성 지원 시에는 금융기관의 입찰독려를 위해 유인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복수금리결정방식을 적용하는 경향이 있다. 현재 통화안정증권 발행 시 입찰시행 전에 발행금리 결정방식을 공고하고 있으며 입찰참가자에게 더욱 유.. 2023. 12. 18.
대출금 출자전환, IC 카드, 테일러 준칙(Taylor's rule),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 ·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73회) 1. 대출금 출자전환 금융기관이 차주기업에 대한 대출채권을 동 기업의 주식과 교환하는 것으로서 금융기관의 차주기업에 대한 관계가 채권자에서 주주로 변하게 된다. 금융기관은 기업에 대한 경영감시기능을 높여 경영정상화 후 배당을 받거나 주식매각을 통한 시세차익을 획득할 수 있으며, 기업은 부채비율 하락과 원리금 상환부담 감소로 경영정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반면 출자전환 기업이 도산할 경우 출자금 회수가 불가능하게 되어 오히려 금융기관의 부실화가 가속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실기업의 도산위험이 금융기관에 전가되어 금융기관의 신인도가 저하될 수 있다는 부정적 측면도 있다. 2. IC 카드 IC(Integrated Circuit) 카드는 신용카드 크기의 플라스틱카드에 마이크로프로세스와 IC 메모리가 내장된 .. 2023. 12. 15.
금융중개지원대출제도, 기업어음, 대외지급준비자산,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72회) 1. 금융중개지원대출제도 한국은행의 금융중개지원대출 제도는 은행의 중소기업 등에 대한 대출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동 대출 취급실적에 비례하여 한국은행이 낮은 금리로 자금을 공급하는 대출제도를 말한다. 금융통화위원회가 정한 한도 이내에서 세부 지원 목적에 따라 5개의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운용된다. 신성장·일자리지원 프로그램은 우수기술을 보유하거나 일자리창출에 기여하는 창업기업 대상 운전자금대출에 대해 지원한다. 무역금융지원 프로그램은 수출금융 지원을 위해 무역금융 취급실적에 대해 지원한다. 영세자영업자지원 프로그램은 영세자영업자 전환대출실적에 대해 지원한다. 지방중소기업지원 프로그램은 지역 경제사정 등에 부합하는 지방중소기업 대상 대출에 대해 지원한다. 중소기업대출 안정화 프로그램은 중소기업 신용의 변동.. 2023. 12. 14.
자본거래자유화, 지급준비자산제도, 어음교환, 예대율,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71회) 1. 자본거래자유화 자본거래의 자유화란 직접투자나 간접투자를 불문하고 정부 혹은 민간이 제3 국과의 사이에 자본을 사용 목적, 방법 등에 대해 어떠한 간섭도 받지 않은 채 자유롭게 공급 또는 도입하고 나아가 동 자본의 원금과 이자의 상환 등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 간단히 말해 국경 간의 자본 이동을 자유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본거래의 자유화는 내국인 또는 국내기업(거주자)의 국외투자와 외국인 또는 외국기업(비거주자)의 대내투자 양 측면의 자유화를 포괄한다. 자본거래의 자유화는 무역자유화 및 외환거래 자유화와 함께 일국 경제체제의 개방 및 자유화를 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최종단계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부터 자본거래의 자유화를 추진하기 시작하여 1992년 주식시장을 부분.. 2023. 12. 13.
은행인수어음, 자기자본비율, 역외금융, 자발적 실업,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70회) 1. 은행인수어음 은행의 단기무역신용공급방식의 하나로 수출입대금결제를 위해 발행된 환어음을 은행이 인수(accept)하는 것을 말하며, 은행이 어음상의 지급의무를 부담한 것이므로 그 신용도가 높아 BA 시장에서 자유로이 양도되고 자산보유의 형태로도 이용되고 있다. BA(Banker's Acceptance)는 통상 어음발행인이 인수은행에 매입을 신청하고 할인받는 것이 관행으로 되어 있으나,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수은행이 BA를 만기일까지 보유하지 않고 유통시장에 매각함으로써 안정성과 유동성이 뛰어난 독특한 시장이 형성되는데 이를 은행 인수어음시장이라 한다. 2. 자기 자본비율 총자본 중에서자기 자본이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재무구조 지표이다. 자기 자본은금융비용을 부담하지 않고 기업이 장기적으로.. 2023. 12. 12.
역모기지론, 에너지바우처제도, 여신전문금융회사,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69회) 1. 역모기지론 역모기지론(reverse mortgage loan)은 주택을 소유하고 있으나 자체수입이 부족한 고령자가 보유주택을 담보로 소유자 및 배우자의 사망 시까지 노후생활에 필요한 자금을 연금 형태로 받아 안정된 주거생활을 확보하는 제도이다. 역모기지론을 활용하는 경우, 고령자들은 보유주택의 유동화를 통해 현 주거지에서 일정 수준의 생활을 유지하고, 대출금융기관은 고령자가 사망한 이후 동 담보주택을 처분하여 대출 원리금을 회수하게 된다. 역모기지론은 고령자가 자식이나 주위의 도움 없이 스스로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또한, 사회 전체적인 측면에서도 적은 규모의 재정 지원으로 고령층의 복지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저비용·고효율의 예산 운용도 기대할 수 있다. 역모기지론은 주택을 담.. 2023. 12. 11.
어음관리계좌(CMA), 듀레이션, 동행종합지수, 밴드웨건효과,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68회) 1. 어음관리계좌(CMA) 어음관리계좌(CMA; Cash Management Account)는 고객이 맡긴 자금을 어음이나 우량채권 등에 운용하여 그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대표적인 단기금융상품이다. 1984년 8월 「종합금융회사법」에 의거 종금사 수신상품의 하나로 도입되었으나 2003년 11월부터는 증권사들도 약관에 의해서 취급하고 있는데 현재 CMA는 대부분 증권사에서 취급하고 있다. 증권사 CMA는 고객과의 약정에 따라 예치자금을 MMF, RP 등에 투자하는 금융서비스 계좌로 고객예탁금 계좌와 연계하여 수시 입출금, 급여이체, 신용카드 결제자금 납부 등의 부가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당초 증권사 CMA는 가상계좌를 통해 제한적으로만 지급결제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나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으로 증권사의 소.. 2023. 12. 10.
아시아인프라은행(AIIB), 인구고령화, 일반특혜관세,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67회) 1. 아시아인프라은행(AIIB) 아시아 국가들의 사회간접자본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금융기구이다. 2013년 10월 중국의 제안을 바탕으로 2014년 10월에 참여희망 21개국이 양해각서를 체결한 다음 2016년 1월 중국 베이징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하면서 공식 출범하였다. 국제 부흥개발은행(IBRD)과 아시아개발은행(ADB)등 개발자금 지원을 위한 국제금융기구가 선진국 주도로 운영되고 있어 신흥시장국 및 후발 개도국들의 요구가 반영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배경으로 중국이 AIIB(Asian Infrasture Investment Bank) 설립을 주도하였으며 미국과 일본은 참여하지 않았다. IBRD나 ADB의 회원국은 AIIB의 회원국이 될 수 있는데 회원국이 되면 출자금액에 비례하는 의결권을 보유.. 2023. 12. 9.
원금이자분리채권(STRIPS), 유동성커버리지비율, 이중통화채(dual currency bond),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66회) 1. 원금이자분리채권(STRIPS) 이표채의 원금과 미래의 이자금액을 분리하여 각각 무이표채(zero coupon bond)의 형태로 거래할 수 있는 채권을 말한다. 즉 채권의 원금과 이자를 분리하여 거래할 수 있는 채권이다. 만기에 한 번의 현금흐름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표채 채권에서 발생하는 재투자 위험이 제거되어 투자시점에서 확정 수익률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한 종목의 이표채가 원금이자분리채(STRIPS; Separate Trading of Registered Interest and Principal of securities)를 통해 다양한 만기의 무이표채로 전환됨에 따라 연기금보험 등 주요 기관투자가의 장기 무이표채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표채권과 현금흐름이 동일한 원금이자.. 2023. 12. 8.
권리의 발생, 법률요건, 법률행위, /부동산 중개사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 /민법 및 민사특별법 편(5회) 1. 권리의 변동 1). 권리의 발생 ▶ 절대적 발생(승계취득) : 종전에 없던 권리가 새로 생기는 것 (예; 시효취득, 선의취득, 무주물의 선정) ▶ 상대적 발생(승계취득) : 타인이 가지고 있던 기존의 권리를 다른 사람이 승계받아 취득하는 것으로 설정적 승계와 이전적 승계가 있음. - 설정적 승계 : 소유자로부터 전세권이나 저당권을 설정받는 경우와 같이 이전 권리자의 권리 일부만을 승계받는 것 - 이전적 승계 : 매매나 상속 등과 같이 이전 권리자의 권리를 그대로 승계받는 것으로, 특정승계와 포괄승계로 구분 ① 특정승계 : 권리의 개별적 취득원인에 의하여 개개의 권리를 취득하는 것(예 : 매매에 의한 소유권 취득) ② 포괄승계 : 이전 권리자의 모든 권리를 취득하는 것(예 : 상속, 포괄유증, 회사의.. 2023. 12. 7.
동태적 대손충당금 제도, 결제부족자금 공동분담제, 선행종합지수,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65회) 1. 동태적 대손충당금 제도 발생주의 대손충당금 회계기준(incurrened-loss model)은 원리금 연체 등 신용손실이 객관적으로 입증되는 경우에만 은행 대출에 대한 대손충당금을 적립하도록 하였다. 동 회계기준하에서 은행은 경기호황기에는 연체율이 하락함에 따라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감소하고 순이익 및 자본이 증가하는 등 대출여력이 확대되어 대출과 경기가 더욱 확대되는 반면 불황기에는 반대로 대출여력이 축소되면서 대출과 경기를 더욱 위축시킬 수 있다. 동태적 대손충당금(DP; Dynamic Provisioning)은 발생손실 기준 대손충당금 회계기준 하에서 나타나는 은행 대출의 경기순응성을 완화하기 위해 2000년 7월 스페인을 비롯하여 다수 남미 국가에서 도입된 거시건전성 정책이다. 대손충당금은 대.. 2023. 12. 6.
속물효과(스놉효과), 소비의 비가역성, 배당할인모형,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64회) 1. 속물효과(스놉효과)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단지 다른 사람들이 많이 구입한다는 이유만으로 특정 물품을 구입하지 않거니 심지어 자신의 옷과 똑같은 옷을 입은 사람을 보면 그 옷을 더 이상 입지 않는다. 명품브랜드 소비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인데 이를 속물효과 또는 스놉효과(Snob effect)라고 한다. 즉 특정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고 값이 오르면 오히려 수요가 늘어난다. 이 용어는 1950년 레이번슈타인(H. Leibenstein)에 의해 스놉(재산과 지위로 거만을 떠는 속물)이 선호하는 브랜드 물품이 일반 구매층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지칭하는 데 처음 사용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전시효과는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수요도 증가하는 경우를 가.. 2023. 12. 5.
명의신탁, 명인방법, 매수청구권, 무권대리, /부동산중개사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 /민법 및 민사특별법 편(4회) 1. 명의신탁(名義信託) 수탁자(受託者)에게 재산의 소유명의가 이전되지만 수탁자는 외관상 소유자로 표시될 뿐이고, 적극적으로 그 재산을 관리, 처분할 권리의무를 가지지 아니하는 신탁, 종래 명의신탁은 판례에 의하여 유효라고 인정되어 왔으나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1995. 7.1. 이후의 부동산에 관한 소유권 기타 물권에 대한 명의신탁약정은 무효가 된다(동법 제4조) 2. 명인방법(名認方法) 수목의 집단 또는 미분리의 과실 등에 관한 물권변동에 있어서 관습법 또는 판례법에 의하여 인정되어 있는 특수한 공시방법, 예컨대, 집단 또는 개개의 수목은 목찰을 세우거나 수피에 성명을 묵서 하면 독립의 부동산으로 취급을 받고, 전답에 있는 추수 전의 벼도 집단적으로 명인방법을 해 두면 토.. 2023. 12. 4.
순이체한도제, 유동성딜레마, 외국환업무취급기관/외국환은행, 수출입물량지수,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63회) 1. 순이체 한도제 순이체 한도제(net dabitcaps)는 금융결제원의 차액결제시스템에 참가하고 있는 각 참가기관으로 하여금 여타 참가기관과의 CD, 타행환 거래 등에서 발생하는 순이체액(지급지시송신액 - 지급지시수신액)에 대하여 그 상한을 설정토록 함으로써 결제불이행 사태의 발생가능성 및 불이행 규모를 최소화하도록 한 제도이다. 순이체 한도의 적용을 받는 차액 결제시스템은 한은금융망을 통하여 차액 결제되고 있는 거래 중 지급지시가 실시간으로 송수신되고 금융기관 간 결제보다 고객 앞 대금지급이 먼저 이루어짐으로써 미결제순채무가 발생하는 타행환공동망, 전자금융공동망, 지방은행공동망, 국가 간 ATM망과 어음교환시스템, CD공동망, B2C 전자상거래 중 지급지시가 실시간으로 송수신되는 거래이다. 차액결제.. 2023. 12. 3.
대지사용권, 대항력, 동시이행 항변권, 담보가등기, 대물변제 등, /공인중개사 관련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 /민법 및 민사특별법(3회) 1. 대지사용권 전유 부분을 소유하기 위하여 건물의 대지에 대해서 가지는 권리(소유권, 지상권, 전세권, 임차권 등)①를 말한다. 대지사용권에 대해서는 일체성의 원칙이 적용된다. 즉, 대지사용권은 그의 전유 부분의 처분에 따르고, 전유 부분과 분리하여 처분할 수 없는 것이 원칙이다. 「민법」제267조 [지분포기 등의 경우 귀속] 공유자가 그 지분을 포기하거나 상속인 없이 사망한 때에는 그 지분은 다른 공유자에게 각 지분의 비율로 귀속한다. 2. 대항력 ① 「주택임대차보호법」의 대항력 ㉮ 주택임대차는 그 등기가 없는 경우에도 임차인이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전입신고)을 마친 때에는 그다음 날부터 제3자에 대하여 효력(대항력)이 생긴다. ㉯ 대항력을 취득한 후에 임차주택의 소유권을 취득한 양수인에 대해 임차.. 2023. 12. 2.
순안정자금조달비용, 유동성 함정, 이자보상배율,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62회) 1. 순안정자금조달비용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 신용경색으로 금융시장 기능이 마비되면서 자금조달이나 만기연장이 어려워짐에 따라 많은 은행들이 만기불일치 등에 따른 유동성 위기를 경험하였고 이는 금융시스템 전체의 유동성 경색을 유발하였다. 이에 따라 바젤위원회(BCBS)는 유동성 위기에 대한 대응 및 금융복원력 강화를 위해 단기 유동성 규제인 유동성커버리지 비율과 함께 중장기 유동성 규제인 순안정자금조달비욜(NSFR; Net Stable Funding Ratio)을 도입하였다. 순안정자금조달비율은 유동성을 감안한 은행 보유자산대비 안정적 조달자금(자본 및 부채)의 비율이며 은행들은 2018년부터 NSFR 비율을 100%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즉 NSFR은 은행 자금조달 구조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 2023. 12. 1.
가등기, 가압류, 강제이행, 경개, 공시 등/공인중개사 관련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 /민법 및 민사특별법편(2회) 1. 가등기 본 등기의 순위를 보전하기 위해 미리 해 두는 등기로, 예비등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가등기에는 청구권 보전의 가등기와 담보등기가 있다. 2. 가압류 금전채권 또는 금전으로 환산할 수 있는 채권의 집행을 보전하기 위하여 채무자의 일반재산의 현상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보전처분을 말한다. 3. 강제이행 채권자의 이행청구에 응하여 채무자가 임의로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 채권의 실현을 위해 채권자에게 주어진 이행 강제 수단을 말한다. 4. 경개(更改) 취소할 수 있는 법률 행위로 생긴 채무를 소멸시키고 신 채무를 성립시키기로 하는 당사자 사이의 계약을 말한다. 채무 내용을 변경하는 경개는 대물 변제와 비슷하지만, 다른 급부를 현실적으로 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급부를 목적으로 하는 신채무를 성립시킨.. 2023. 11. 30.
스트레스 테스트(위기상황분석), 아시아개발은행(ADB), 시뇨리지(seigniorage),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61회) 1. 스트레스 테스트(위기상황분석) 예외적인 발생가능한 (extreme but plausible) 위기 상황을 상정하여 개별 금융기관, 금융부문 및 금융시스템 전체의 취약성과 복원력을 평가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스트레스 테스트(stress test)에서는 위기 시나리오 하에서 예상되는 금융기관의 손익, 자본비율, 현금흐름 및 유동성 상황 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리스크를 분석한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개별 금융기관 단위보다는 금융시스템 전체 관점에서의 건전성 평가 및 규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금융기관 간 연계성 및 거사금융 연계성을 반영하는 거시 스트레스 테스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및 EU 등 주요국 중앙은행 및 정책당국은 위기 이후 거시 스트레스 테스트를 강화하고 이를 금융기관의 자본.. 2023. 11. 29.
채무상환유예(moratorium), 채권시장, 수쿠크(sukuk), /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60회) 1. 채무상환유예(moratorium) 라틴어로 '지체하다'란 뜻의 'morari'에서 파생된 말로, 한 국가가 경제·정치적인 이유로 외국에서 빌려 온 차관에 대해 일시적으로 상환을 연기하는 '지불유예(支拂猶預)'를 말한다. 곧 채무를 갚겠지만 현 상황에서는 도저히 갚을 능력이 없으니 지급을 일정기간 유예하겠다는 선언이다. 따라서 모라토리엄은 채무상환이 아예 불가능한 '채무불이행(디폴트, default)'이나 채무상환을 거절하는 '지급거절'과는 의미가 다르다. 한 국가가 모라토리엄을 선언하면 그 국가는 IMF와 구제금융 협상을 벌이고, 이를 토대로 채권국 모임인 '파리클럽', 채권은행단 모임인 '런던클럽'과 구체적인 채무상환 연장 조건을 협상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채무국은 채권국과 채무조정 작업을 하여.. 2023. 11. 28.
탄소배출권, Beyond GDP, 자본시장통합법/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59회) 1. 탄소배출권 탄소배출권((CERs; Certified Emission Reductions)은 온실가스를 일정기간 동안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그리고 배출권 거래제도는 교토의정서에 따라 도입된 3가지 제도 중의 하나로서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있는 국가가 할당받은 배출량보다 적은 양을 배출할 경우 남는 탄소배출권을 다른 국가에 판매할 수 있는 제도를 지칭한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특정 국가는 배출량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배출권 판매에 따른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배출량 감축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는 이보다 낮은 비용으로 배출권을 구입해 온실가스 감축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는 환경문제를 시장 원리와 연계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촉진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2. Beyond G.. 2023. 1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