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부

연방준비제도, 국제원유가격, 외환보유액/경제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경제·금융 용어 제대로 알고 공부합시다.(7)

by luxury 2023. 9. 25.
728x90
반응형

<고층 빌딩 숲 두바이>
<출처: 한국은행>

  1. 연방준비제도(FRS)/연방준비은행(FRB)  

  연방준비제도(FRS; Federal Reserve System)는 1907년 금융공황 후 그 대책으로서 1913년에 제정된 연방준비법(FRS; Federal Reserve Act)에 의해서 창설된 미국 특유의 중앙은행제도이다. 동 제도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Board of Governors)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rree)를 정점으로 이들을 지원하는 본부와 12개 지역 연방준비은행(FRB; Federal Reserv Bank)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상원의 승인을 얻어 대통령이 임명하는 7인의 전임이사로 구성되며, 통화정책을 수립하고 지역 연방준비은행을 통할하는 최고 의사 결정기구이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공개시장운영정책을 수립·집행하는 기구이며, 연방준비은행에 대해서 지정한 공개시장운영의 실시를 명할 수 있다. 한편, 지역연방준비은행은 12개 지역의 중앙은행 역할을 하며, 금융기관 지급준비금관리, 재할인, 지급결제, 연장준비권의 발행, 가맹 주립은행에 대한 업무감독, 국고대리업무 등 연방준비제도의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출처 : 한국은행>

  2. 국제원유가격  

  원유는 전 세계적으로 200여 종이 거래되고 있다. 이중 국제원유시장의 대표 유종은 미국서부 텍사스 중질유(WTI; West Texas Intermediate), 영국 브렌트유 및 아랍에미레이트(UAE) 두바이유의 세 가지이다. WTI는 북미, 브렌트유는 유럽 및 아프리카, 두바이유는 중동을 각각 대표하는 기준유가를 정하는 유종으로 사용되고 있다. 국제원유가격은 1980년대 중반까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 Countries)의 발표가격을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석유 파동 등으로 인한 국제원유가격의 변동성을 회피하기 위하여 선물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선물가격이 실질적인 현물유가의 기준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선물시장이 잘 발달되고 거래 역사도 길어 가격 정보가 풍부한 세 가지 유종의 가격이 국제원유가격을 대표하고 있다. 특히 WTI와 브렌트유 선물시장의 일일거래량은 세계수요의 5배 내외로 거래 유동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세 유종은 생산량 축소로 세계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5%에 못 미쳐 동 유가가 대표성을  상실하고 있다는 평가도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국제원유가격은 장기적으로 공급과 수요에 의해서 결정되나 원유공급자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기상, 미달러가치, 주요국 석유재고의 변동 등 많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출처 : 한국은행>

  3. 외환보유액  

  외환보유액(Official Reserve Assets)은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국제수지 불균형을 보전하거나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보유하고 있는 교환성이 있고 유동성이나 시장성이 높은 대외지급준비자산을 말한다. 그러므로 외환보유액은 긴급한 상황에서 쓰기 위해 갖고 있는 비상금과 같은 성격의 준비자산으로 외환보유액은 환율 급등 시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재원으로 이용될 뿐 만 아니라 금융기관의 해외차입이 어려워지는 신용위기 상황에서 중앙은행 등이 최종대부자(last resort)의 역할을 하기 위한 재원이 된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현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선진국 국채 등 외화증권이나 예치금과 같은 유동성과 안정성이 높은 자산으로 운용되고 있다. 외환보유액은 경제 위기 시 안전한 역할을 하여 국가 신용도를 높이고 중앙은행은 외화 자산 운용에 따른 수익이 발생하는 등의 편익이 있지만 통화안정증권 등에 대한 이자지급 등 비용 또한 발생한다. 이에 따라 외환보유액의 적정규모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 왔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