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에서 길을 찾다.

[지리의 힘], 저자 <팀 마샬>의 책을 읽고, 지정학은 인류 역사에서 국제적인 원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1부 - 미국, 중국)

by luxury 2023. 8. 2.
728x90
반응형

[지리의 힘], 저자 <팀 마샬>

  프롤로그   

  지정학은 지리적 요인을 통하여 국제적 원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국가적으로 산맥으로 이어지는 천연 장애물, 하천으로 이어지는 물리적 지형, 인구통계, 기후, 문화 현상, 천연자원 등 이러한 요인들에 의하여 정치, 군사 전략, 언어, 무역, 종교와 인류 발전, 문명 충돌등의 여러 가지 중대한 국면에 이르게 된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하여 전에 읽었던 <지리의 힘>을 다시 꺼내 읽고 내가 살고 있는 조국이 얼마나 소중한지 새삼 느끼게 되었으며, (3부)로 나눠서 지정학에 대해서 살펴본다. 

  1. 미국   

  지구상에서 지리적 혜택을 가장 많이 본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은 전략적인 요충지를 확보하고 방대하고 비옥한 토지, 세계적인 무대를 배경으로 사업할 수 있는 대서양 항구들이  있다.

  미국은 국토를 동쪽에서 서쪽으로 세 부분으로 나눠 살펴보면,

 첫째, 애팔레치아 산맥 방향으로 향하는 동부 연안의 평원 지대는 항해 가능한 강의 수원이 풍부하고 토양이 비옥하다. 둘째, 서쪽에 로키 산맥 방향으로 뻗어가는 대평원에 거대한 미시시피 강 유역이 펼쳐지고, 플로리다 반도와 몇 개의 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멕시코 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셋째, 북쪽 오대호는 세계에서 가장 넓은 선캄즈리아대 암석 지구인 캐나다 순상지가 펼쳐져 있다. 인간이 살기에는 어려운 지역이고 남·서쪽에는 사막이 있다.

  <대서양부터 태평양에 이르는 땅>을 지배할 수 있는 나라가 지리적 특성을 결정한다. 미국은 가공할 위력의 군대와 주 방위군, 주 경찰, 도시 경찰이 있고, 침공을 당했을 때 순식간에 상상을 초월하는 요새로 변한다.

  1803년, 1천5백만 달러 서명으로 프랑스 지배하에 뉴올리언스가 있는 루이지애나 지역 전체의 지배권을 사들였다. 이 지역은 멕시코만에서 북서쪽으로 로키 산맥의 미시시피강 지류 상류까지 뻗어 있다.

  1819년, 스페인이 지배하고 있는 플로리다를 넘겨받았고, 1845년, 텍사스는 멕시코와의 영토 분쟁으로 미국에 귀속되었다.

  1867년, 720만 달러를 주고 러시아로부터 알래스카를 사들인 이후, 1896년에 금광이 발견되고, 수십 년 뒤에는 거대한 유전이 발견되었다. 1896년, 대륙횡단 철도가 개통되어 일주일이면 가능하다.

  1898년, 스페인의 지배하에 있던 쿠바, 푸에르토리코, 괌, 필리핀에 대한 지배권을 손에 넣고 쿠바와 플로리다 해협을 확보하여 카리브해까지 진출한다.

  1903년, 파나마 운하 배타적 권한을 보장받는 조약을 체결하여 전 세계를 향한 강력한 힘을 보여주었다.

   막강한 해군력을 내세운 미국의 패권 시대, 미국은 제1차 세계대전 때 개입을 제외하고 1941년까지 바깥 세계의 분규나 동맹을 피한 건 사실이다.

  1949년, 워싱턴 정부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창설을 주도했다. 나토의 민간인 수장은 일 년은 벨기에, 다음 해는 영국이 맡고, 군 사령관은 미국인이 맡는다고 명시하였다. 나토의 최고 사령관은 워싱턴의 입장과 일치해야 한다. 나토의 창립 멤버인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영국, 이탈리아도 자국의 기지에 대한 미국의 권한과 접근을 보장해 줌으로써 미국은 태평양, 북대서양, 지중해까지 패권을 쥐게 되었다.

  1951년,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와 동맹을 맺고 남반구에도 세력을 확장하였고, 1950년 ~ 1953년까지 한국전쟁 후에 북쪽으로까지 영향력을 넓혔다.

  미국 정부의 대외 전략 전문가들 중 다수는 21세기의 역사는 아시아와 태평양이 주도할 것이라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중국은 방공 식별구역을 지정하여 쟁점화하고, 미국은 이를 준수하지 않고 비행을 강행하고 있다.

일본에 관한 미국의 정책은 중국과 관련해 전략적 이해관계를 공유하면서 미군의 오키나와 연장 주둔을 보장받는 데 있다. 복잡한 외교 정책적인 면에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등 이 세 나라는 비좁은 말라카 해협 경계선에 있어서 친미 성향을 갖고 미국에 핵심적인 이익을 수호해야 한다.

  미국과 대만이 맺은 조약에 따르면, 중국이 자국의 23번째 성으로 주장하는 대만을 침공할 경우, 미국은 개입하게 되어 있다.

  미국은 에너지 자급자족을 넘어 2020년 이후부터 에너지 수출 국가가 되었다. 미국 제5함대는 바레인에 기지가 있고, 이란이 지나치게 강력해지는 것을 견제하고 있으며, 이스라엘과의 긴밀한 관계는 지속되고 있으며, 파나마 운하의 개방을 연장하고, 쿠바와 플로리다의 근접성, 역사적 관계로 볼 때 쿠바의 지배세력이 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아프리카에서도 지상에서 9천 미터 이상을 넘지 않는 선에서 개입을 피하고 있다.

  미국은 경제 대국으로 나토 국가들의 방위비를 합친 것보다 훨씬 많은 액수를 국방력 증강과 발전에 투자하고 있다.

  2013년 갤럽 조사에 의하면, 전 세계 인구의 25%가 가장 이민을 가고 싶은 나라는 미국으로 꼽았고, 상하이 대학 전문가들이 뽑은 세계 최고 대학 20개 중 17개 대학이 미국에 있다.

  프로이센의 정치가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1세기 훨씬 전에 "신은 바보들과 주정뱅이들, 그리고 미국에 특별한 섭리를 베푸신다."라고 하는 선견지명의 말을 했다.

  2. 중국   

  중국은 4천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14개 국가와 경계를 하고 있고, 2023년 4월 19일 UN 인구기금 발표에 의하면, 중국의 인구가 인도보다 260만 명 적은 14억 2천만 명 정도이고, 한족이 90%를 차지하고 있다.

언어는 만다린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본은 1932년부터 1937년까지 중국을 침공한 만주와 내몽골을 비롯하여 중국 본토 대부분을 장악하였으나 1945년 8월 6일 일본 히로시마 원폭 투하로 무조건 항복하여 제2차 세계대전이 종식되고 일본이 중국에서 철수하였다. 만주 지역은 소련이 접수했다가 1946년에 철수했다. 

  마오쩌둥의 공산당 군대는 1949년에 국민당을 대만으로 퇴각시키고 "인민해방군은 모든 중국 영토를 해방시킬 것이다. 티베트, 신장, 하이난, 대만도 포함된다."라고 하였다.

  티베트를 포기하지 못하는 이유는 인도와 국경으로 중국이 히말라야 산맥을 가운데 두고 인도와 정치적, 경제적으로 긴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인도가 티베트 고원의 통제권을 얻으면 황허, 양쯔, 메콩강의 수원이 있는 티베트의 통제권을 얻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티베트는 중국의 금수탑이기 때문이다. 2006년 당시 후진타오 총리는 티베트 수도 라싸로 들어가는 철도를 개통하였다.

  중국이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신장 지구는 국경을 맞대고 있는 나라가 러시아, 몽골, 카자흐스탄, 키르키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인도를 포함하여 8개국이다. 신장은 터키어와 비슷한 언어를 쓰는 위구르족이다. 2009년 대규모 분규가 발발해서 2백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을 때, 베이징의 대처 방식은 정부에 반대하는 세력을 무자비하게 탄압하기, 그 지역에 돈을 쏟아 붓기, 꾸준히 한족 노동자를 이동시키는 것이었다. 신장이 중요한 이유는 8개국과 국경을 하고 있고, 다량의 원유와 중국 핵무기 실험장이 있다. 신장 주변 곳곳에 들어서고 있는 대다수 신도시에는 정부에서 투자한 공장에서 일하는 한족이 40%에 달한다. 

  남중국해, 분쟁의 현장 중국은 태평양과 인도양을 아우르는 대양 강국이 되고자 한다. 중국과 태평양 사이에 <제1열도선>이라 칭하는 다도해가 펼쳐져 있고, 여기에 이른바 <9 단선>이 있는데, 2013년에 대만이 추가되어 <10 단선>이 되면서 자국의 영토라 우기고 있다. 중국은 이 항로에 대한 통제권을 행사하고자 한다. 지정학적으로 이곳을 통하지 않고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남중국해 대양 항로에 진출할 수가 없다. 일본은 대만 북동쪽에 센카쿠 열도와 중국과 분쟁 중이다. 

대만을 23번째 성이라 주장, 대만은 미 해군과 동맹 관계이며 미국이 대만의 공군까지 무장해 두고 있다.

해협에서의 영유권 분쟁, 말라카 해협은 요충지이자 관문 역할로 이 부근의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와 분쟁 중이다.

 

참고사항 

<제1열도선>은 중국 본토에서 1천 킬로미터 떨어진 일본 규슈에서 시작해 오키나와, 대만, 필리핀 남중국해를 잇는 선을 말한다.

<9 단선>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해안선으로부터 근접한 지역에 9개의 가상 기준선을 그어 놓은 것을 말한다. 중국은 <9 단선>에 근거해, 남중국해 전체의 90퍼센트가 자국의 해역과 역사적으로 자신들의 소유라고 주장하고 있다.

  에필로그   

  전후(제1,2차 세계대전) 세계의 최강 경제 대국, 최강 군사 대국인 미국은 세계 평화를 지키는 데 필요성을 느끼며 앞장서고 있다. 미국은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과 군사적으로 전략적인 측면에서 앞서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경제적인 밑바탕이 탄탄하여 중국이 쉽게 넘을 수는 없을 것이다. 동아시아 태평양 시대에 일본, 태국, 베트남, 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여러 국가들은 일치감치 미국과 손을 잡고 있다.  중국은 50년 안에 세계 최강국으로 진입할 것이라 주장하지만, 전문가들은 1세기가 훨씬 넘어도 불가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728x90
반응형

댓글